
어원적으로 살펴본 일일이
일일이는 한자어 一一(일일)에 부사형 어미 -이가 붙은 형태입니다.
한자 一一은 하나하나 또는 매번이라는 뜻을 지니며, 여기에 부사형 어미가 붙어 하나하나 빠짐없이라는 의미로 확장되었습니다.
즉, 일일이는 다음과 같은 구조로 분석됩니다.
일일(一一, 하나하나) + -이(부사형 어미) → 일일이
이처럼 일일히 라는 형태는 형태소 결합상 문법적으로 근거가 없습니다.
우리말의 부사형 어미는 보통 -히 또는 -이로 나타나지만, 어떤 어미가 붙는지는 앞 단어의 형태와 발음 규칙에 따라 달라집니다.
결론은,
올바른 표기는 일일이 입니다.
일일히는 틀린 표현입니다.
즉, 표준어로 인정되는 형태는 일일이 하나뿐이며, 국립국어원 표준국어대사전에서도 일일히는 등재되어 있지 않습니다.
기본형 부사형 비고
| 정직 | 정직히 | -히 사용 (받침 ㄱ) |
| 간단 | 간단히 | -히 사용 (받침 ㄴ) |
| 조용 | 조용히 | -히 사용 (받침 ㅇ) |
| 완전 | 완전히 | -이 사용 (받침 ㄴ + 전) |
| 상세 | 상세히 | -히 사용 |
| 친절 | 친절히 | -히 사용 |
| 부드럽 | 부드럽게 | -게 사용 |
| 일일 | 일일이 | 일일은 부사형 어미 -이와 결합 |
결국, 일일히라고 쓸 근거는 없습니다. 일일의 경우 부사형 어미로 -이만 붙는 것이 자연스러운 형태이기 때문입니다.
의미와 쓰임
일일이는 하나하나 빠짐없이, 모두 다, 각각에 대해서라는 뜻을 가집니다.
이는 단순히 횟수나 개수의 나열이 아니라, 행위나 주의가 세세하게 미치는 범위를 강조하는 표현입니다.
즉, 전체 속에서 개별 항목 하나하나에 주의나 행동이 닿을 때 사용합니다.
실제 예문으로 보는 일일이의 쓰임
1. 행동이나 처리의 대상이 하나하나일 때
- 선생님은 학생들의 이름을 일일이 불러 가며 출석을 확인했다.
→ 모든 학생을 빠짐없이 한 명씩 확인했다는 의미. - 그는 받은 메일을 일일이 답장했다.
→ 모든 메일에 각각 답장을 보냈다는 의미. - 물건을 살 때마다 가격표를 일일이 확인할 필요는 없다.
→ 모든 항목마다 세세히 확인할 필요 없다는 뜻.
2. 세세한 설명이나 언급이 필요할 때
- 그 문제를 일일이 설명하자면 너무 길어진다.
→ 하나하나 다 설명하면 길어진다는 뜻. - 내가 그 사람의 잘못을 일일이 지적할 생각은 없다.
→ 하나하나 다 따지고 싶지는 않다는 의미. - 변호사는 증거를 일일이 제시하며 주장했다.
→ 각각의 증거를 하나씩 차례로 내보였다는 뜻.
3. 감정 표현에서 세세한 대응을 의미할 때
- 그 사람 말에 일일이 반응할 필요는 없다.
→ 말 하나하나마다 대응하지 않아도 된다는 뜻. - 댓글을 일일이 신경 쓰다 보면 스트레스만 쌓인다.
→ 모든 댓글에 반응하거나 신경 쓰는 것을 의미. - 친구가 내 말에 일일이 태클을 건다.
→ 내가 하는 말마다 빠짐없이 시비를 건다는 의미.
4. 일상 속 표현 예시
- “그가 나에게 일일이 잔소리를 한다.”
→ 사소한 일까지 빠짐없이 간섭한다는 부정적 뉘앙스. - “그녀는 손님 한 명 한 명에게 일일이 인사했다.”
→ 모든 손님을 소홀히 하지 않았다는 긍정적 뉘앙스. - “규정을 일일이 확인해야 한다.”
→ 꼼꼼하고 철저하게 검토한다는 의미.
이처럼 일일이는 상황에 따라 긍정적, 부정적 양면의 의미로 모두 사용됩니다.
핵심은 “개별 항목 하나하나에 주의가 닿는다”는 것입니다.
일일히가 틀린 이유 (음운 규칙 관점)
한국어에는 형용사나 명사 뒤에 붙는 부사형 어미가 -히와 -이 두 가지가 있습니다.
그 구분은 단순히 임의적이지 않고, 발음 규칙 및 어원적 제약에 따라 달라집니다.
- -히는 대체로 형용사 어근이 한자어로 끝날 때,
그리고 그 받침이 ㄱ, ㄴ, ㄹ, ㅁ, ㅂ, ㅇ 중 하나일 때 붙습니다.
(예: 정직히, 간단히, 조용히, 겸손히 등) - -이는 그 외의 경우나,
명사 어근이 한자어일 때 자주 사용됩니다.
(예: 간절히(X) → 간절히는 맞음, 완전이(X) → 완전히(O))
일일의 경우는 명사(한자어)에 해당하므로,
그 뒤에는 -이 만 붙는 것이 문법적으로 타당합니다.
따라서 일일히라고 쓴다면
형태소 구조상 일일(명사) + 히(부사형 어미)로 어색한 결합이 되는 셈입니다.
일일이와 비슷한 의미의 다른 표현들
- 하나하나 : 순우리말로 일일이보다 부드럽고 구어체 느낌이 강함.
- 예: “하나하나 따져 보자.” / “하나하나 살펴볼게.”
- 모두 : 포괄적 의미로, 전체를 가리킬 때 사용.
- 예: “그 일에 관련된 사람들을 모두 불러라.”
- 각각 : 개별성을 강조할 때 사용.
- 예: “참석자 각각의 의견을 듣자.”
- 전부 : 전체를 의미하며 일일이보다는 범위가 넓음.
- 예: “문서를 전부 검토했다.”
일일이는 위 단어들과 달리, 개별 항목 하나하나에 주의를 기울이는 과정을 강조할 때 적합합니다.
실제 오용 사례
현실에서는 많은 사람들이 다음과 같은 오용을 합니다.
| 일일히 검사하다 | 일일이 검사하다 |
| 일일히 기억하다 | 일일이 기억하다 |
| 일일히 답변하다 | 일일이 답변하다 |
문장 내에서는 발음상 비슷하게 들리기 때문에,
글로 쓸 때 히와 이를 혼동하는 경우가 잦습니다.
그러나 일일히는 비표준이므로 문서, 보고서, 기사 등에서는 반드시 일일이로 써야 합니다.
언어학적 고찰 (왜 사람들은 일일히라고 착각할까?)
사람들이 일일히를 쓰는 이유는 다음과 같습니다.
- -히 부사형이 더 익숙하기 때문
한국어 부사의 상당수가 -히로 끝납니다.
(예: 조용히, 간단히, 자세히, 성실히 등) - 일일이의 발음이 약하게 들려 혼동됨
빠르게 발음하면 이리리처럼 들려 청각적으로 모호합니다. - 히 어미의 강조 느낌 때문
어떤 사람들은 일일히가 더 세심하고 강하게 느껴져서 감정적으로 히를 덧붙이는 경향이 있습니다.
하지만 언중의 감각과는 달리, 표준어 규범에서는 일일이만을 인정합니다.
문체별 활용 팁
- 공문서, 논문, 기사문 등 공식 문체:
→ 반드시 일일이 사용.
예: “모든 항목을 일일이 검토한 결과, 오류가 발견되지 않았다.” - 구어체, 대화문:
→ “하나하나”, “전부 다” 등의 표현으로 대체 가능.
예: “그걸 일일이 말해야 알아?” / “하나하나 다 얘기해야 돼?” - 문학적 표현:
→ 반복이나 리듬감을 줄 때 일일이를 활용하면 문체에 섬세함을 더할 수 있습니다.
예: “그녀는 아이의 머리카락을 일일이 매만졌다.”
결론
| 표준어 여부 | ✅ 표준어 | ❌ 비표준어 |
| 의미 | 하나하나 빠짐없이, 각각 | (존재하지 않음) |
| 어원 | 一一(일일) + -이 | 잘못된 결합 |
| 예문 | 일일이 확인하다 / 일일이 대응하다 | X |
일일이는 하나하나 빠짐없이, 모든 것을 세세히라는 뜻으로 표준어이며, 문법적·형태론적으로도 근거 있는 올바른 표현입니다.
반면 일일히는 발음이나 습관상의 오류로 생긴 비표준 표현으로, 공식적인 글에서는 절대 사용하지 않아야 합니다.